기획자 역할의 본질은 ‘조율’이다 – 실무에서 통하는 6가지 핵심 전략 “개발은 개발자, 디자인은 디자이너… 그럼 기획자는 뭘 하지?” 그 질문에 답하는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수많은 이해관계자 사이를 오가며 조율 역할을 하다 보면 종종 이런 말을 듣곤 해요. “기획자는 정확히 뭘 하는 직무인가요?” 처음엔 저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경험이 쌓일수록 하나의 답이 보이더라고요. “기획자의 본질은 조율이다.” 이해관계, 일정, 리소스, 커뮤니케이션을 이리저리 맞추는 일, 그게 진짜 기획자의 힘이더라고요. 오늘은 실무에서 통했던 6가지 조율 전략을 공유해볼게요. 기획이라는 일이 추상적으로 느껴졌다면, 이 글이 좀 더 명확한 기준이 되어줄 수 있을 겁니다. 목차 1. 각자의 역할을 정렬하는 사람 2. 일정의 교통정리자 3.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는 항해사 4. 리스크를 감지하고 완충하는 사람 5. 메시지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관찰자 6. 피드백을 순환시키는 루프 메이커 1. 각자의 역할을 정렬하는 사람 기획자는 디자이너도 개발자도 아니지만, 이 둘의 역할이 어긋나지 않게 조율하는 사람이에요. 기획이란 결국 ‘경계선’을 명확히 하는 작업 이라고 생각해요. “여기까지가 디자인, 여기부터는 개발”처럼 각자의 역할이 정확히 정렬되었을 때 프로젝트는 덜 흔들립니다. 명확한 R&R 문서를 만들어 공유하는 것이 시작입니다. 2. 일정의 교통정리자 디자인은 다 됐는데 개발이 바쁘다거나, QA가 끝났는데 배포 일정이 비어 있다면 조율이 필요한 거예요. 기획자는 타임라인의 병목을 줄이는 사람 이어야 합니다. 저는 항상 마일스톤 달력과 업무 간 의존도 표를 함께 보고 일정을 조정해요. 상황 기획자의 조율 방법 디자인이 늦어짐 ...
이 블로그는 IT 기획자, PM, PO를 위한 실무 중심의 기획 아이디어와 문서 작성 노하우, FigmaㆍAI 도구 활용법까지 다룹니다. 경험 기반의 사례와 실전에 바로 적용 가능한 정보만 담았습니다.